스케쥴링
스케줄링
프로세스 스케쥴링에 대해서 알아본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세스는 응용 프로그램 정도로 생각한다.
배치처리
큐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배치처리 시스템의 문제점?
- 시간이 적게 걸리는 프로그램이 있다고 하더라도 배치 처리 시스테으로 오래 걸리는 프로세스가 먼저 진행중이면 그만큼 기달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 음악을 들으면서 문서를 작업한다 든지 응용 프로그래밍 동시 사용에 대한 처리를 못했다.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컴퓨터를 쓴다고 했을테 시스템 응답 시간이 커지기 때문에 다중 사용자에 대한 지원이 되지 않았다.
시분할 시스템이 등장 : 응용 프록그램이 CPU를 점유하는 시간을 굉장히 잘게 쪼개어 실행될 수 있도록 함. (다중 사용자 지원)
멀티태스킹
단일 CPU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시스템
마찬가지로 시분할 시스템을 적용하면 작동하지 프로세스가 바뀌어서 동작하는 시간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시간은 매우 작은 시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지 하지 못한다.
실제로는 동시에 작동하지 않지만 사용자가 느끼기에 동시에 실행된다고 느끼게 되는 것이다.
멀티 프로세싱

멀티 프로세싱은 여러 CPU가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병렬로 실행시키면서 실행 속도를 극대화 하는 기술이다.
멀티 프로그래밍
최대한 CPU를 많이 활용하도록 하는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은 온전히 CPU를 사용하기 보다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일이 많다.
어쩔 수 없이 CPU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오게 되는데 이때 그냥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프로그래을 그 사이에 실행 시킬 수 있다면 CPU 활용률은 올라갈 것이다.
이런 개념을 적용한것이 멀티 프로그래밍이다.
메모리 계층
CPU 밖에서 일어나는 프로세스는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다.
특히나 저장매체에서 진행되는 프로세스는 굉장히 느리다.
